라파엘의 사랑하는 와잎님은 세무사님이신데,
양도, 상속, 증여에 Specialty가 있고. 법인/개인사업자 기장도 매출 규모가 큰 기업체들도(연매출 5,000억원 이상 기업도 有) 포함하여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답니다. (자성세무회계!! 서초 세무사. 방배 세무사. 사당 세무사)
자성세무회계
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천로4안길 6 삼원빌딩 3층
서초구 방배천로 4안길 6 삼원빌딩 3층
02–2039–3261~4 (대표번호 3261)
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— -
#증여 #상속 #양도 #부동산 #주택 #취득세 #개인사업자 #법인 #복식부기 #장부 #기장 #기장대리 #기장대행 #세무기장 #소득세 #법인세 #부가가치세 #절세 #세금신고 #상속 #양도 #배우자증여 #세법 #개정 #개정세법 #예정고지 #예정신고 #소규모법인
#서초세무사 #방배세무사 #사당세무사 #자성세무회계
ㅡㅡㅡㅡㅡ
안녕하세요.
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.
가족분의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들어가 있는 상황에서, 본인이 사업자등록을 하여 사업소득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는지 문의가 들어왔습니다.
사실, 이 내용에 대한 문의는 처음이 아니라서 한 번 다뤄보면 좋을 것 같아서 이번 포스팅 주제로 선정해보았습니다.
혹시, 건강보험의 피부양자와 연말정산 시 부양가족의 개념이 헷갈리신다면 아래의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!
오늘의 주제를 풀어가기 위해서는 먼저, 건강보험 피부양자의 대상부터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.
건강보험 피부양자의 대상
피부양자 자격을 취득하려면 직장가입자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하여야 하고, 보수나 소득이 없어야 하며 세부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.
▶ 직장가입자에 의하여 주로 생계를 유지하는 자
- 직장가입자의 배우자(사실혼 포함), 직계존속(배우자의 직계존속 포함), 직계비속(배우자의 직계비속 포함) 및 그 배우자, 형재/자매
- 부양요건에 충족하는 자 : 피부양자 인정기준 등 부양요건 참조 [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] 별표 1(제2조 제1항 제1호 관련)
- 재산과표가 5.4억원 이하인 경우 인정, 또는 재산과표가 5.4억원을 초과하면서 9억원 이하인 경우는 연간소득 1천만원 이하이면 인정
- 형제/자매의 경우에는 재산과세표준의 합이 1.8억원 이하이어야 함. (단, 만 65세 이상, 만 30세 미만, 장애인, 국가유공/보훈보상상이자만 인정)
▶ 보수 또는 소득이 없는 자
피부양자 자격의 인정기준 등 소득요건
직장가입자의 피부양자가 되려는 사람은 아래의 소득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- 사업자등록을 한 자로 사업소득이 없는 경우
- 사업자등록이 없고, 사업소득이 연간 500만원 이하
- 모든 소득(사업/이자/배당/연금/기타/근로소득 등)을 합하여 연간 2천만원 이하
- 피부양자가 기혼자인 경우에는 부부 모두 소득요건을 충족해야 함
- 주택임대소득의 경우 사업자등록 유무에 관계없이 소득이 있는 경우 제외
- 장애인 국가유공 보훈보상대상 상이자는 사업자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연간 소득 500만원 이하
따라서, 사업자등록을 하는 경우라면 사업소득이 1월이라도 발생 시 피부양자 자격 상실이 되어 지역가입자로 전환이 되는 것이기에 사업자등록 전 세무사와 상담을 하시는 것이 절세의 지름길입니다.
개인·법인 기장 또는 양도·증여·상속 등 세무관련 상담이 필요하시다면 방배동 자성세무회계에서 상담 가능합니다.
기장 관련 문의는 아래 카카오톡 채널로 주시면 보다 빠른 답변이 가능합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